블로그 이미지
베이비부머&실버연구소입니다. // 이메일 edwdkim@naver.com// 조인스블로그 joinsmsn.com/edwdkim// 오마이포털 ohmyportal.net// A&Z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209)
베이비부머 (73)
시사종합 (79)
오피니언 (51)
영상 (5)
SNS (1)
블로그 (0)
Total
Today
Yesterday

집·자녀교육 올인해 여윳돈 적고, 그나마 날릴까 투자 머뭇 … 은퇴 후 30년 어쩌나

 

[중앙일보 권혁주] 한국 32%, 프랑스 21%, 독일 9%, 네덜란드 9%. 높아서 좋은 수치가 아니다. 직장인 중 ‘노후 준비가 전혀 없다’고 답한 사람의 비중이다. 피델리티자산운용이 한국과 유럽 각국을 조사해 지난해 발표한 보고서에 드러난 현실이다. 한국은 근로자들의 은퇴 후 소득 감소율도 가장 높은 것으로 별도의 조사에서 나타났다. 한국은 은퇴 후 소득이 은퇴 직전의 42%에 불과하다. 반면 미국은 58%, 영국은 50%, 일본은 47%였다. 준비가 없으니 퇴직 후 소득이 급감하는 것도 당연하다. 대체 한국 근로자들은 왜 은퇴준비를 제대로 하지 못하는 것일까.
한국 직장인들이 노후준비에 소홀한 이유는 크게 세 가지다. 첫째는 집 장만하고 애들 가르치느라 여윳돈이 없다는 것, 둘째는 극히 보수적인 투자 성향, 셋째는 정부의 정책 미흡이다.

<여기를 누르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국은 사교육비는 말할 것도 없고 공교육비의 민간 부담률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최고 수준이다. 부동산 가격도 소득 수준에 비해 몹시 높다. 이 때문에 가계자금이 대부분 부동산에 묶여있다. 한국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한국은 가계자산의 약 80%가 부동산이다. 반면 미국은 이 비중이 35%, 일본은 41%로 한국의 절반 안팎이었다.
반대로 금융자산 비중은 한국이 20%, 미국은 65%, 일본은 59%다. 미국이나 일본은 노후 대비나 목돈 마련을 위한 목적으로 훨씬 많은 돈을 배분하고 있는 것이다. 당연히 은퇴 후 자금사정이 우리에 비해 더 넉넉하다.
한국인들은 또 노후 대비 금융상품도 예금·적금처럼 안전한 것 위주로 운용한다. 피델리티자산운용이 한국과 유럽 각국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한국인은 ‘낮은 위험, 낮은 수익률을 선호한다’는 응답이 89%였다. 유럽 각국은 70% 안팎이었다. 전체 가계자산에서 펀드·주식·채권 같은 금융투자상품이 차지하는 비중도 한국은 5.8%로 미국(33.8%)의 6분의 1에 불과했다. 안전자산을 찾는 성향으론 세계에서 둘째가라면 서러워할 일본인들도 금융투자상품 비중이 7.6%로 한국보다 높았다.
이처럼 안전자산에만 쏠리다 보니 요즘 같은 저금리 시대에 노후 대비 자금을 불리기가 쉽지 않다. 보험연구원 분석에 따르면 개인이 매달 20만원씩 30년간 연금을 부어도 은퇴 후 받을 수 있는 돈은 퇴직 직전 소득의 7%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연금의 평균적인 투자 성향에 따라 투자했을 때 거두게 되는 수익이 이렇다. 저금리에도 불구하고 지나치게 안전자산에만 몰두하면 은퇴 후 여유를 갖기 힘들다는 점을 보여주는 결과다. 보험연구원 류건식 선임연구위원은 “퇴직 후 자금은 안전이 중요하지만 수익률까지 고려해 적절히 투자 배분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안전자산만 쳐다보는 성향을 탓하기 힘들다는 지적도 있다. 어쩌다 한 번씩이라지만 펀드를 굴리는 자산운용사들이 사고를 쳐 개인투자자들의 신뢰를 잃기 때문이다. 당장 최근만 해도 와이즈에셋자산운용이 파생상품에 돈을 굴렸다 900억원의 손실을 냈다. 주식 시장 막판 외국인의 대량 매도로 주가지수가 뚝 떨어진 11월 11일 하루에 이만큼 손실을 입었다. 이 때문에 이 회사가 운용하는 펀드 가입자들이 총 1조원대에 이르는 펀드 환매 요구까지 했다.
이런 상황을 보면서 “노후 생명줄인 은퇴 준비자금을 저런 데 맡겨 한 번에 털어먹을 순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늘게 마련이다. 현재 금융감독원은 와이즈에셋의 경우와 같은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증권사와 자산운용사 등의 건전성을 높이는 방안을 마련 중이다.
개인들의 노후 대비 투자자금을 수익성 높은 자산에 끌어들이기 위한 세금 혜택도 약하다. 현재 한국은 연금저축 가입자에 대해 연간 납입액 중 300만원까지 소득공제를 해준다. 금융투자협회와 미래에셋퇴직연금연구소 등에 따르면 미국은 연간 1만6500달러(약 1900만원)까지 세금혜택을 주고 있다. 

은퇴한 뒤 필요한 노후자금은 100인데, 실제 마련할 수 있는 돈은 불과 65. 우리나라 도시 근로자들의 현실이다.

 피델리티자산운용이 서울대 생활과학연구소 노년·은퇴설계지원센터에 의뢰해 도시 근로자의 은퇴자금 준비를 분석, 30일 발표한 결과다. 서울대는 통계청의 가계 수입·소비 실태와 노동부의 임금 조사, 한국투자자보호재단의 펀드 투자자 조사 등을 토대로 현재 근로자들의 은퇴 후 예상소득 수준을 산출했다.

 이에 따르면 도시 근로자들은 2010년 화폐가치로 따져 3억3000만원을 은퇴자금으로 마련할 수 있는 것으로 추산됐다. 개인 저축 1억6000만원, 국민연금과 같은 공적 연금 1억3000만원, 퇴직연금 1000만원 등이다. 보유 부동산은 이에 포함되지 않았다.

 연구를 주도한 서울대 최현자(소비자학) 교수는 “대도시인들이 생각하는 은퇴 후 필요 자금 규모는 5억1000만원”이라고 밝혔다. 한국투자자보호재단이 2007년 서울과 6대 광역시 성인 3500명에게 은퇴 후 생활을 위해 얼마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하는지를 물어본 결과다.

 얼핏 많은 금액 같지만, 은퇴 후 30년에 걸쳐 연금으로 매달 140만원을 받으면 5억1000만원이 된다. 이 돈으로 자녀의 결혼 비용 같은 목돈과 노후 의료비 등도 충당해야 한다. 다른 수입이 없으면 이 돈만으론 살림이 무척 빠듯해질 수밖에 없다. 그런데 이마저도 도시 근로자들이 스스로 장만하기에는 1억8000만원(35%)이 모자란다는 게 이번 연구의 결론이다. 부족분은 부동산을 처분하거나, 은퇴 후에도 다른 일자리를 갖 는 식으로 해결할 수밖에 없다.

 피델리티자산운용과 서울대는 이날 ‘은퇴소득대체율’이란 지표를 발표했다. 은퇴 후 예상되는 평균 연간소득이 은퇴 직전 연소득의 몇 %에 해당하는지를 나타내는 수치다. 국내 도시근로자의 경우 은퇴소득대체율이 42%인 것으로 나타났다. 바꿔 말하면 은퇴 후 소득이 은퇴 전보다 58% 감소한다는 얘기다. 미국(58%), 홍콩(54%), 일본(47%) 등은 한국보다 은퇴소득대체율이 높았다.

 은퇴소득대체율은 3년 전 조사(41%) 때보다 1%포인트 높아졌다. 상황이 조금 나아진 것 같지만 속내는 달랐다. 대체율이 증가한 주된 이유는 국민연금 수령 예상액이 늘어서다. 퇴직 후 소득에서 국민연금이 차지하는 비중은 2007년 분석 때 32%에서 이번에는 41.1%로 높아졌다. 반면 개인연금이나 저축 등 개인투자가 차지하는 비중은 64.4%에서 55.7%로, 퇴직연금과 퇴직금의 비중은 3.6%에서 3.2%로 감소했다.

최현자 교수는 “금융위기 이후 경제가 어려워지면서 저축률이 낮아지고 금리도 떨어진 반면, (물가 상승 등으로) 가계지출은 늘어나는 바람에 개인저축 등의 퇴직 준비 기여도가 뚝 떨어졌다”고 설명했다.

 연령대별로는 50대의 은퇴소득대체율이 35%로 가장 낮았다. 50대들의 코앞에 닥친 퇴직이 실제 이뤄지면, 수입이 갑자기 65% 감소한다는 의미다. 직장에 있을 때와 나왔을 때의 온도 차가 그만큼 크다는 것이다. 1955~63년생을 일컫는 ‘베이비붐 세대’의 상당수가 바로 이 연령대에 포함된다. 5년 전 시작된 퇴직연금제의 혜택을 거의 받지 못하는 점이 은퇴 후 수입이 급감하는 원인이다.

 이들이 퇴직하기 시작하면 부족한 수입을 메우기 위해 부동산을 처분할 가능성이 크다. 고정자산의 유동화다. 이에 따라 가뜩이나 바닥인 집값은 더 떨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또 다른 직장을 찾기 어려운 연령대이므로 소자본으로 자기 사업을 하려는 사람도 늘 전망이다.

피델리티자산운용 정찬교 부장은 “베이비붐 세대의 상당수는 직장 퇴직 후에도 소득을 올리기 위해 자영업 전선에 나설 것”이라고 내다봤다.

권혁주 기자

직장인들이 생각하는 은퇴 후 필요한 자금은 5억 1000만 원이라고 한다. 그런데 이걸 뜯어보면 별것 아니다. 그냥 퇴직한 뒤 한 달에 140만 원을 30년 간 쓰자면 5억 1000만원이 필요하다는 셈이 나온다고 한다. 

하지만 조사 대상자들이 5억 1000만 원은 있어야 할 것 같다는 계산은 완전 주먹구구식이다. "그냥 그 정도 있어야 하지 않을까"하는 수준에 불과하다.엉성하기 짝이 없다.  몇 살까지 살 것을 가정한 것인지에 대한 언급도 전혀 없다. 

만약 82세까지 산다고 가정한다면 베이비붐 세대(1957년생)인 내 경우 62세부터 20년 동안 국민연금을 받게 돼 있다.물론 이는 정치적 격변을 전제하지 않은 것이다. 이 경우 공적자금,즉 국민연금 혜택만 해도 20(년) x 12(개월)x130만(원,국민연금 월 지급액,2010년 기준으로 1957년생이 받을 것으로 추산되는 돈 )= 3억 1200만 원에 달한다. 국민연금 수혜 기간을 만약 30년으로 치면  4억 6800만 원이 된다.    

은퇴 후의 예상수입 항목 가운데 개인저축(896만 원),개인연금(73만 원),기타(114만 원)를 그대로 살리고,여기에다 연간 공적연금 수입 1560만 원(130만원x12개월)을 더 하면 '은퇴 후 예상 연간 평균소득'은 2,643만 원으로 늘어난다. 

설문 응답자들이 피부로 느끼는 은퇴 후 필요한 자금에 바탕을 둔 셈법은 이래서 허술하기 짝이 없다. 또 은퇴 후에 돈을 자유롭게 쓸 수 있는 사람은 많지 않다고 본다. 가뜩이나 걱정이 많은 사람들에겐 아무런 도움도 주지 못한다. 밑도 끝도 없이 추산한 은퇴자금은 베이비부머들의 혼란만 가중할 뿐이다. 
Posted by A&Z
, |

최근에 달린 댓글

글 보관함